개별 CDA 엔진 제어모드 개발 및 엔진 특성연구
연구배경
- 글로벌 연비 규제 강화 및 연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원천기술 확보 필요
- CDA 엔진 개발 및 차량적용을 통한 연비 경쟁력 확보
- CDA 엔진 적용을 통한 차량의 연비 향상률 확인
연구목표
- CDA 엔진용 컨트롤러 및 제어로직 개발
- CDA 엔진의 작동 및 휴지 기통수에 따른 성능 및 효율 특성 파악
- 차량 적용을 통한 CDA 엔진 기술의 연비 상승 효과 파악
경쟁차량 연비 상세 비교 분석
연구배경
- 엔진토크 기반 연비정밀분석기법 이론 재정립 및 연비분석업무 기술력 향상
- 차량단위 비교분석과 연비영향 단품 비교평가를 통한 취약점 발굴
- 열세 인자 분석 결과를 통한 개선방안 수립 및 개선안 적용 평가
- 발굴 개선안의 양산적용을 통한 Base 차량 연비 향상
연구목표
- 엔진토크 기반 연비 비교분석 기법 이론 정립
- 차량단위 비교 분석을 통한 연비 위약점 및 개선안 발굴, 적용을 통한 연비개선
- 연비 시험 및 분석 방법 체계화를 통한 업무 향상
차량용 차세대 열관리 시스템을 위한 가변제어 써모스탯(ECT) 통합 냉각수 제어밸브(ECV) 개발
연구배경
- 차세대 열관리 시스템을 위한 ECT/ECV 개발 필요
- 열관리 시스템의 성능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필요
연구목표
- 능동형 가변제어 써모스텟(ECT) 개발
- 통합냉각수 유량 제어 밸브(ECV) 개발
- 냉각계 온도 예측을 위한 요소별 모델링 및 단품 시험
- ECT 제어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
- ECT 컨트롤러 사양 결정 및 회로 설계
HEV 차량의 Mode 및 실도로 연비 및 온실가스 연구
연구배경
-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추진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비중 증가
- 다양한 기술로 운전조건에 따라 연비/온실가스 특성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
- 미국 Scycle 보정식에서, HEV 차량의 경우 30~45% 보정이 필요
- HEV의 온실 가스에 대한 상세 연구 수행
연구목표
- 다양한 시험모드 및 주행조건에 따른 내연기관, HEV차량의 연비 및 온실가스 측정 및 분석
- 국산, 외산 HEV 차량의 연비 인자 비교 분석 및 HEV 기술 동향 파악
중대형차량 연비향상을 위한 요소기술 평가 기술개발
연구배경
- 국내 중대형차량의 보유 대수는 전체 장동차의 6%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자동차 배출 총량의 1/3에 달함
- 2017년 시행될 국내 중대형 차량 연비제도에 대비해, 국내 실정에 맞는 연비측정 방법 및 연비 목표 수준을 결정해야 함
- 차대 동력계 및 실도로 실험 기반, 적합한 연비제도 규제 감ㅅ을 산정할 수 있도록 근거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
연구목표
- 차종 구분에 따른 중대형 상용차 실도로 주행조건 수집 및 분석
- 기존 중대형 상용차량 실도로 연비와 비교를 통한 실도로 연비 향상 효과 분석
- 엔진 운전영역 및 엔진의 에너지 흐름 파악
- 엔진 손실, 차량 관성에 의한 손실, 주행저항에 의한 손실, 동력계 손실 등에 대한 분석
모델기반 융합제어 원천기술 개발
연구배경
- 차량 연비는 고유가 시대의 중요한 상품성 인자이며 연비개선과 관련된 기술 개발은 배기 규제와 CO2규제 및 연비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
- 연비개선을 위해 차량의 마찰 저감, 연비 우선 제어 방법 개발, 신기술 적용을 통한 열효율 향상, 동력 시스템 구조 변경 등 다양한 대응 방법 필요
연구목표
- 모델기반 융합제어를 위한 냉각계 요소별 모델링
- 융합제어용 CAN Base Controller 개발 및 CAN통신 표준화
- 융합제어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차량 모델링 및 고정밀도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
- 제어시스템의 연비 영향도 시험/분석/평가 기술 개발